다이어트 중 폭식하는 이유와 극복 방법
오늘은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우울하면 꼭 맛있는 음식을 배부르게 먹어야하는 분들,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 폭식을 하는 분들을 위한 포스팅입니다.
폭식을 하는 이유는 사실 뇌신경 때문 일 수가 있다고 하는데요.
뇌신경 과학자들이 한 연구를 통해 '폭식'습관이 생기는 원인을 알아냈다.
볼프람슐츠라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는 '훌리오'라는 원숭이와 함께 실험을 하게 되었는데요.
훌리오는 '블랙베리 주스'를 굉장히 좋아하는 원숭이였습니다.
슐츠 박사는 훌리오가 블랙베리 주스를 좋아하는 것을 가지고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슐츠박사는 훌리오 방에 모니터, 의자, 손잡이, 그리고 블랙베리 주스가 나오는 호스를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훌리오가 슐츠박사가 원하는 행동을 할 때마다 블랙베리 주스를 줬습니다.
슐츠박사가 원하는 행동은 '모니터에 파란 화면이 뜨면 훌리오가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것' 이었습니다.
모니터에 파란 화면이 뜨고 훌리오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호스를 통해 블랙베리 주스를 주었죠.
슐츠박사는 이때 훌리오의 뇌에 자극을 관찰하였는데, 반복 된 동작을 했을 때 아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훌리오가 주스를 마실 때마다 뇌가 아주 활발한 활동을 하는 것이었죠.
실험이 계속 될 수록 훌리오의 뇌는 모니터에 파란불만 들어와도 아주 활발한 활동을 했습니다.
모니터에 파란불이 들어오면 블랙베리 주스가 나온다는 '습관'이 만들어진 것이죠.
이렇게 훌리오에게 습관 반응이 나타나자 슐츠박사는 실험에 변화를 주기 시작합니다.
파란화면이 나오고, 훌리오가 손잡이를 당겼음에도 바로 주스를 주기 않는 것이죠.
그리고 시간이 조금 지난 뒤 주스를 주거나, 아니면 주스에 물을 섞어서 주었습니다.
그러자 훌리오는 괴성을 지르며 화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주스를 주지 않는 시간이 길어지면, 화를 내다 못해 침울해 하기까지 했지요.
이런 현상을 보고 슐츠박사는 이 반응을 '열망'이라고 표현했습니다.
훌리오에게 블랙베리 주스는 처음에는 즐거움 이었지만, 그런데 그 즐거움이 반복되고 습관이 되니
그 이후에는 열망으로 바뀐 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블랙베리 주스를 마셨을 때 즐거움 보다는 주스를 못마셨을 때 화가나고 침울해지는 것이 더 커진것이죠.
이것과 폭식도 똑같습니다.
우리에게 배 부르고 맛있는 걸 먹는 것은 즐거움이었습니다.
하지만 이게 습관적으로 계속 되다보면, 어느새 열망이 되어버립니다.
그래서 만약에 아직 폭식을 하는게 즐거움 단계에 머물러 계신 분들은
이게 습관이 돼서 열망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열망단계에서 습관을 바꾸는 것은 아주 힘든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폭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람은 음식을 섭취하면 뇌의 보상기전이 활성화되어 쾌감을 주게 되고 이는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입니다. 음식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에너지가 생기게 되는 것이죠.
이것이 반복되어 ' 아 오늘 기분도 안좋은데 맛있는거 먹으면서 기분풀자! ' 라는 생각이
우리 몸에 공식처럼 자리잡는 것이지요.
특히 탄수화물이나 단음식, 자극적인 음식일 수록 쾌감의 민감도가 높아서
이런 음식들로 폭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폭식증 자가진단법◈
1. 계획보다 많은 양의 음식을 먹게된다.
2. 배가 부르지만 눈앞에 음식이 있으면 계속 먹는다.
3. 과식 후 축 처져있거나 피로한 적이 많다.
4. 폭식으로 대인관계나 회사 업무에 지장이 생긴 적이 많다.
5. 음식을 안먹고 참았을 때 금단증상(불안,짜증,우울 등)이 나타난다.
6. 우울하거나 초조함을 달래기 위해 음식을 찾고 과하게 섭취한다.
위의 6가지 문항 중 3개 이상이 해당된다면 폭식증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폭식증의 해결방법은 없을까?
우리가 폭식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식사일기'를 쓰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내가 왜 폭식을 하게 되었는 지 그 이유와
내가 무엇을, 언제, 얼마나, 왜 먹었는지 6하원칙에 따라 기록합니다.
폭식증은 우리의 감정적인 행위입니다.
실제 배고픔이 아닌 거짓 배고픔, 감정적 공허감으로 생긴 충동적인 행위이기에
그 순간에는 내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식사일기를 통해 스스로 폭식하게되는 원인을 정리해보고
나의 행동의 특징을 기록함으로써 그때의 감정을 객관화 시키는 것이
폭식을 다스리기에 큰 도움이됩니다.
만약, 나는 스트레스 받을 때마다 폭식을 해!
나는 혼자있는 외로움을 잊기위해 폭식을 해!
나는 다이어트만 시작하면 폭식을 해! 와 같은
나의 폭식패턴을 발견했다면, 음식이 아닌 다른 해소법을 궁리하여
습관을 바꾸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 모두 이겨낼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 오늘도 화이팅!!^^